맨위로가기

핀란드의 교통장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의 교통통신부 장관은 1970년 교통통신부 설립 이후 임명된 장관들을 의미한다. 파보 아이티오가 초대 장관을 역임했으며, 이후 무소속, 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 핀란드 사회 민주당, 자유당, 핀란드 스웨덴 인민당, 국민 연합당, 핀란드 농촌당, 중앙당, 좌파 동맹, 핀란드인 정당 소속 인사들이 장관직을 수행했다. 안네 베르너 전 장관은 교통 부문 규제 개혁, 환경 및 기후 공약 준수, 규제 완화 및 디지털 서비스 확대를 주요 정책으로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교통장관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는 핀란드의 독립과 냉전 시대 생존에 기여한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총리, 스웨덴/소련 대사를 거쳐 대통령을 역임하며 소련과의 우호 관계 구축 및 '파아시키비 독트린'을 통해 핀란드의 안보와 독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핀란드의 교통장관 - 산나 마린
    핀란드의 정치인 산나 마린은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탐페레 시의회 의원, 국회의원, 교통통신부 장관을 거쳐 2019년 12월부터 2023년 6월까지 핀란드 총리를 역임하며 최연소 총리가 되었고,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대응으로 주목받았으나 사생활 및 공금 사용 논란을 겪었으며, 2023년 총선 후 총리직에서 물러났지만 국회의원직을 유지하고 있다.
핀란드의 교통장관
기본 정보
핀란드의 국장
핀란드의 국장
개요
직책핀란드의 교통통신부 장관
해당 정부 부처교통통신부
현직
담당자루카 린틸래
취임일2023년 6월 20일
역할
정부 부처 책임자교통통신부
역사
이전 직책공공사업교통부 장관
교통부 장관
관련 링크
교통통신부 (핀란드)교통통신부

2. 역대 장관

wikitext

순서초상화이름출생-사망임기 시작임기 종료재임 기간소속 정당내각
1
파보 아이티오
파아보 아이티오1918-19891970년 1월 1일1970년 5월 14일133일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코이비스토 1차
2
마르티 니스칼라
마르티 니스칼라1911-19841970년 5월 14일1970년 7월 15일62일무소속 정치인아우라 1차
3베이코 사르토1934-1970년 7월 15일1971년 3월 26일254일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카르잘라이넨 2차
4칼레르보 하아파살로1922-20021971년 3월 26일1971년 10월 29일217일핀란드 사회 민주당카르잘라이넨 2차
5
에사 티모넨
에사 티모넨1925-20151971년 10월 29일1972년 2월 23일117일무소속 정치인아우라 2차
6발데 네발라이넨1919-19941972년 2월 23일1972년 9월 4일194일핀란드 사회 민주당파시오 2차
7페카 타르얀네1937-20101972년 9월 4일1975년 6월 13일2년 282일자유당소르사 1차
(5)에사 티모넨1925-20151975년 6월 13일1975년 11월 30일170일무소속 정치인리이네마
8카우코 예르페1926-19961975년 11월 30일1976년 9월 29일304일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리이네마
9라그나르 그란비크1910-19971976년 9월 29일1977년 5월 15일228일핀란드 스웨덴 인민당미에투넨 3차
10베이코 사르토1934-1977년 5월 15일1982년 2월 19일4년 280일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소르사 2차
코이비스토 2차
11야르모 발스트룀1938-20131982년 2월 19일1982년 12월 31일315일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소르사 3차
12레이노 브레일린1928-20101982년 12월 31일1983년 5월 6일126일핀란드 사회 민주당소르사 3차
13
마티 푸하카
마티 푸하카1945-20211983년 5월 6일1984년 11월 30일1년 208일핀란드 사회 민주당소르사 4차
14마티 루티넨1936-20091984년 12월 1일1987년 4월 30일2년 150일핀란드 사회 민주당소르사 4차
15페카 베네모1944-1987년 4월 30일1989년 9월 30일2년 153일핀란드 농촌당홀케리
16
라이모 비스트바카
라이모 비스트바카1945-1989년 10월 1일1990년 8월 28일331일핀란드 농촌당홀케리
17일카 카네르바1948-20221990년 8월 28일1991년 4월 26일241일국민 연합당홀케리
18올레 노르바크1941-1991년 4월 26일1995년 4월 13일3년 352일핀란드 스웨덴 인민당아호
19투울라 린나이마1942-1995년 4월 13일1997년 4월 1일1년 353일국민 연합당리포넨 1차
20마티 아우라1943-20111997년 4월 2일1999년 1월 15일1년 288일국민 연합당리포넨 1차
21키모 사시1952-1999년 1월 15일1999년 4월 15일90일국민 연합당리포넨 1차
22올리페카 헤이노넨1964-1999년 4월 15일2002년 1월 4일2년 264일국민 연합당리포넨 2차
(21)키모 사시1952-2002년 1월 4일2003년 4월 17일1년 103일국민 연합당리포넨 2차
23레나 루흐타넨1941-2003년 4월 17일2005년 9월 23일2년 159일핀란드 사회 민주당얘텐매키
반하넨 1차
24수산나 후오비넨1972-2005년 9월 23일2007년 4월 19일1년 208일핀란드 사회 민주당반하넨 1차
25
아누 베흐빌래이넨
아누 베흐빌래이넨1963-2007년 4월 19일2011년 6월 22일4년 64일중앙당반하넨 2차
키비니에미
26메르야 퀴뢰넨1977-2011년 6월 22일2014년 4월 4일2년 286일좌파 동맹카타이넨
27헨나 비르쿠넨1972-2014년 4월 4일2014년 6월 24일81일국민 연합당카타이넨
28파울라 리시코1960-2014년 6월 24일2015년 5월 29일339일국민 연합당스투브
29안네 베르너1964-2015년 5월 29일2019년 5월 29일4년 0일중앙당시필래
(25)아누 베흐빌래이넨1963-2019년 5월 29일2019년 6월 6일8일중앙당시필래
30
산나 마린
산나 마린1985-2019년 6월 6일2019년 12월 10일187일핀란드 사회 민주당린네
31티모 하라카1962-2019년 12월 10일2023년 6월 20일3년 192일핀란드 사회 민주당마린
32룰루 라네1971-2023년 6월 20일현직핀란드인 정당오르포


2. 1. 운수국장 (1892년-1917년)

게오르그 폰 알프탄은 1892년 10월 1일부터 1896년 2월 4일까지 투데르 원로원에서 운수국장직을 맡았다. 오시안 부오렌헤이모(1903년 "부오렌헤이모"로 개명)는 핀란드당 소속으로 1896년 2월 12일부터 1900년 10월 19일까지 투데르 원로원에서, 1900년 10월 19일부터 1905년 3월 29일까지 린데르 원로원에서, 1905년 3월 29일부터 1905년 11월 11일까지 스트렝 원로원에서 운수국장을 역임했다.

레나르트 그리펜베리는 스웨덴당 소속으로 1905년 12월 1일부터 1907년 6월 20일까지 메켈린 원로원에서 운수국장직을 수행했다. 베르네르 린드베리는 스웨덴당 소속으로 1908년 8월 1일부터 1908년 12월 20일까지 혤트 원로원에서 운수국장을 맡았다.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는 핀란드당 소속으로 1909년 4월 25일부터 1909년 11월 13일까지 혤트 원로원에서 운수국장직을 역임했다.

에리크 베르크는 핀란드당 (발트 독일인) 소속으로 1909년 10월 19일부터 1917년 3월 26일까지 마르코프 원로원과 보로비티노프 원로원에서 운수국장을 역임했다. 배이뇌 보이온마는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1917년 3월 26일부터 1917년 9월 8일까지 토코이 원로원에서 운수국장직을 수행했다.

2. 2. 운수공공국장 (1917년-1918년)

얄마르 카스트렌은 청년 핀란드당 소속으로, 1917년 11월 27일부터 1918년 11월 27일까지 제1차 스빈후부드 원로원 및 제1차 파시키비 원로원에서 운수공공국장을 역임했다.

2. 3. 운수공공장관 (1918년-1970년)

각료정당임기내각
베른하르드 부올레국민연합당1918년 11월 27일–1919년 4월 17일제1차 잉그만
에로 에르코국민진보당1919년 4월 17일–1919년 8월 15일K. 카스트렌
산테리 포햔팔로국민진보당1919년 8월 15일–1920년 3월 15일제1차 벤놀라
마그누스 라보니우스국민진보당1920년 3월 15일–1921년 4월 9일에리히
에르키 풀리넨국민진보당1921년 4월 9일–1922년 6월 2일제2차 벤놀라
에베르트 스코그스트룀무소속1922년 6월 2일–1922년 11월 14일제1차 카얀데르
아우쿠스티 아호무소속1922년 11월 14일–1924년 1월 18일제1차 칼리오
에베르트 스코그스트룀무소속1924년 1월 18일–1924년 5월 31일제2차 카얀데르
에로 하흘농업동맹1924년 5월 31일–1924년 11월 21일제2차 잉그만
롤프 비팅스웨덴인당1924년 11월 21일–1925년 3월 31일
퀴외스티 칼리오농업동맹1925년 3월 31일–1925년 12월 31일툴렌헤이모
유호 니우카넨농업동맹1925년 12월 31일–1926년 12월 13일제2차 칼리오
배이뇌 부올리요키사회민주당1926년 12월 13일–1927년 11월 15일탄네르
요한 헬로사회민주당1927년 11월 15일–1927년 12월 17일
에밀 휘니넨농업동맹1927년 12월 17일-1928년 12월 22일제1차 수닐라
얄마르 카스트렌무소속1928년 12월 22일-1929년 8월 16일만테레
얄로 라흐덴수오농업동맹1929년 8월 16일-1930년 7월 4일제3차 칼리오
롤프 비팅스웨덴인당1930년 7월 4일-1931년 3월 21일제2차 스빈후부드
유호 니우카넨농업동맹1931년 3월 21일-1932년 12월 14일제2차 수닐라
에밀 리나국민진보당1932년 12월 14일-1936년 9월 25일키비매키
에리크 코스켄마무소속1936년 9월 25일-1936년 10월 7일
얄로 라흐덴수오농업동맹1936년 10월 7일-1937년 3월 12일제4차 칼리오
한네스 뤼외매사회민주당1937년 3월 12일-1938년 9월 2일제3차 카얀데르
배이뇌 살로바라사회민주당1938년 9월 2일-1939년 12월 1일
1939년 12월 1일–1940년 3월 27일제1차 뤼티
1940년 3월 27일–1941년 1월 4일제2차 뤼티
빌호 아날라애국인민운동1941년 1월 4일–1943년 3월 5일랑겔
배이뇌 살로바라사회민주당1943년 3월 5일–1944년 8월 8일링코미에스
1944년 8월 8일-1944년 9월 21일하크첼
1944년 9월 21일-1944년 11월 17일U. 카스트렌
에로 아르네 부오리사회민주당1944년 11월 17일-1945년 4월 17일제2차 파시키비
1945년 4월 17일-1945년 9월 29일제3차 파시키비
온니 펠토넨사회민주당1945년 11월 9일-1946년 3월 26일
라우리 카이얄라이넨농업동맹1946년 3월 26일-1948년 7월 29일페칼라
온니 펠토넨사회민주당1948년 7월 29일-1950년 3월 17일제1차 파게르홀름
마르티 미에투넨농업동맹1950년 3월 17일-1951년 1월 17일제1차 케코넨
온니 펠토넨사회민주당1951년 1월 17일-1951년 9월 20일제2차 케코넨
1951년 9월 20일-1952년 11월 29일케3차 케코넨
에밀 후노넨사회민주당1952년 11월 29일-1952년 12월 3일
에투 카리알라이넨사회민주당1952년 12월 3일-1953년 7월 9일
에로 매키넨무소속1953년 7월 9일-1953년 10월 27일제4차 케코넨
쿠스티 에스콜라농업동맹1953년 10월 30일-1953년 11월 17일
에리크 세를라키우스무소속1953년 11월 17일-1954년 5월 5일투오미오야
마르티 미에투넨농업동맹1954년 5월 5일-1954년 10월 20일퇴른그렌
1954년 10월 20일-1956년 3월 3일제5차 케코넨
에이노 팔로베시농업동맹1956년 3월 3일-1957년 5월 27일제2차 파게르홀름
쿠스티 에스콜라농업동맹1957년 5월 27일-1957년 7월 2일제1차 숙셀라이넨
빌리암 사리알라농업동맹1957년 7월 2일-1957년 11월 29일
아쿠 수무사회민주당1957년 11월 29일-1958년 2월 28일폰 피안트
파보 카스타리무소속1958년 2월 28일-1958년 4월 26일
1958년 4월 26일-1958년 8월 29일쿠스코스키
쿠스티 에스콜라농업동맹1958년 8월 29일-1959년 1월 13일제3차 파게르홀름
카우노 클레몰라농업동맹1959년 1월 13일-1961년 7월 14일제2차 숙셀라이넨
1961년 7월 14일-1962년 2월 26일제1차 미에투넨
엘리 에르킬래농업동맹1962년 2월 26일-1962년 4월 13일
베이코 사벨라농업동맹1962년 4월 13일-1963년 12월 18일제1차 카랼라이넨
마르티 니스칼라무소속1963년 12월 18일-1964년 9월 12일레흐토
그렐스 테이르스웨덴인당1964년 9월 12일-1966년 5월 27일비롤라이넨
레오 수온패인민민주동맹1966년 5월 27일-1968년 3월 22일제1차 파시오
파보 아이티오인민민주동맹1968년 3월 22일-1970년 3월 1일제1차 코이비스토


2. 4. 교통통신부 장관 (1970년-현재)

1970년 핀란드 교통통신부가 설립된 이후 현재까지 핀란드의 교통통신부 장관직을 역임한 인물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순서초상화이름출생-사망임기 시작임기 종료재임 기간소속 정당내각
1파아보 아이티오1918-19891970년 1월 1일1970년 5월 14일133일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코이비스토 1차
2마르티 니스칼라1911-19841970년 5월 14일1970년 7월 15일62일무소속 정치인아우라 1차
3베이코 사르토1934-1970년 7월 15일1971년 3월 26일254일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카르잘라이넨 2차
4칼레르보 하아파살로1922-20021971년 3월 26일1971년 10월 29일217일핀란드 사회 민주당카르잘라이넨 2차
5에사 티모넨1925-20151971년 10월 29일1972년 2월 23일117일무소속 정치인아우라 2차
6발데 네발라이넨1919-19941972년 2월 23일1972년 9월 4일194일핀란드 사회 민주당파시오 2차
7페카 타르얀네1937-20101972년 9월 4일1975년 6월 13일2년 282일자유당 (핀란드)소르사 1차
(5)에사 티모넨1925-20151975년 6월 13일1975년 11월 30일170일무소속 정치인리이네마
8카우코 예르페1926-19961975년 11월 30일1976년 9월 29일304일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리이네마
9라그나르 그란비크1910-19971976년 9월 29일1977년 5월 15일228일핀란드 스웨덴 인민당미에투넨 3차
10베이코 사르토1934-1977년 5월 15일1982년 2월 19일4년 280일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소르사 2차
코이비스토 2차
11야르모 발스트룀1938-20131982년 2월 19일1982년 12월 31일315일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소르사 3차
12레이노 브레일린1928-20101982년 12월 31일1983년 5월 6일126일핀란드 사회 민주당소르사 3차
13마티 푸하카1945-20211983년 5월 6일1984년 11월 30일1년 208일핀란드 사회 민주당소르사 4차
14마티 루티넨1936-20091984년 12월 1일1987년 4월 30일2년 150일핀란드 사회 민주당소르사 4차
15페카 베네모1944-1987년 4월 30일1989년 9월 30일2년 153일핀란드 농촌당홀케리
16라이모 비스트바카1945-1989년 10월 1일1990년 8월 28일331일핀란드 농촌당홀케리
17일카 카네르바1948-20221990년 8월 28일1991년 4월 26일241일국민 연합당홀케리
18올레 노르바크1941-1991년 4월 26일1995년 4월 13일3년 352일핀란드 스웨덴 인민당아호
19투울라 린나이마1942-1995년 4월 13일1997년 4월 1일1년 353일국민 연합당리포넨 1차
20마티 아우라1943-20111997년 4월 2일1999년 1월 15일1년 288일국민 연합당리포넨 1차
21키모 사시1952-1999년 1월 15일1999년 4월 15일90일국민 연합당리포넨 1차
22올리페카 헤이노넨1964-1999년 4월 15일2002년 1월 4일2년 264일국민 연합당리포넨 2차
(21)키모 사시1952-2002년 1월 4일2003년 4월 17일1년 103일국민 연합당리포넨 2차
23레나 루흐타넨1941-2003년 4월 17일2005년 9월 23일2년 159일핀란드 사회 민주당얘텐매키
반하넨 1차
24수산나 후오비넨1972-2005년 9월 23일2007년 4월 19일1년 208일핀란드 사회 민주당반하넨 1차
25아누 베흐빌래이넨1963-2007년 4월 19일2011년 6월 22일4년 64일중앙당 (핀란드)반하넨 2차
키비니에미
26메르야 퀴뢰넨1977-2011년 6월 22일2014년 4월 4일2년 286일좌파 동맹 (핀란드)카타이넨
27헨나 비르쿠넨1972-2014년 4월 4일2014년 6월 24일81일국민 연합당카타이넨
28파울라 리시코1960-2014년 6월 24일2015년 5월 29일339일국민 연합당스투브
29안네 베르너1964-2015년 5월 29일2019년 5월 29일4년 0일중앙당 (핀란드)시필래
(25)아누 베흐빌래이넨1963-2019년 5월 29일2019년 6월 6일8일중앙당 (핀란드)시필래
30산나 마린1985-2019년 6월 6일2019년 12월 10일187일핀란드 사회 민주당린네
31티모 하라카1962-2019년 12월 10일2023년 6월 20일3년 192일핀란드 사회 민주당마린
32룰루 라네1971-2023년 6월 20일현직핀란드인 정당오르포


3. 주요 정책 및 역할

안네 베르너 전 장관 임기 동안의 주요 정책 사업은 교통 부문 시장을 규제하는 법률을 완전히 개혁하는 새로운 교통 법전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 교통 법전 개혁은 유럽에서 획기적인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기존의 교통 관련 법률을 대폭 규제 완화하고, 서비스형 모빌리티(Mobility as a Service)와 같은 미래형 교통 모델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 법적 프로젝트는 3단계로 시행될 예정이었으며, 새로운 도로 교통 관련 법안은 이미 2016년 8월에 국회에 제출되었다.

베르너 전 장관은 핀란드가 유엔파리 협정에 따라 설정된 환경 및 기후 공약을 준수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제안했다. 핀란드가 2030년까지 교통 부문에서 사용되는 화석 연료의 양을 절반으로 줄일 것이라고 언급하며, 바이오 연료 및 전기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추진 수단을 장려하는 것 외에도, 사회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총 주행 거리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핀란드 전략 정부 프로그램에 정의된 주요 프로젝트 및 개혁의 일환으로, 베르너 전 장관은 핀란드의 전반적인 규제 완화와 행정 부담 감소를 추진했다. 또한 디지털 서비스, 예를 들어 디지털화, 빅데이터 및 로봇화를 통한 성장을 요구했다. 베르너 전 장관은 이러한 분야에서 여러 가지 이니셔티브를 마련하여 핀란드가 5G 네트워크, 자율 교통 및 IoT 기반 솔루션을 포함한 신기술 개발 및 활용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을 촉구했다.

3. 1. 안네 베르너 전 장관의 정책 (2015-2019)

안네 베르너 전 장관 임기 동안의 주요 정책 사업은 교통 부문 시장을 규제하는 법률을 완전히 개혁하는 새로운 교통 법전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 교통 법전 개혁은 유럽에서 획기적인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기존의 교통 관련 법률을 대폭 규제 완화하고, 서비스형 모빌리티(Mobility as a Service)와 같은 미래형 교통 모델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 법적 프로젝트는 3단계로 시행될 예정이었으며, 새로운 도로 교통 관련 법안은 이미 2016년 8월에 국회에 제출되었다.

베르너 전 장관은 핀란드가 유엔파리 협정에 따라 설정된 환경 및 기후 공약을 준수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제안했다. 핀란드가 2030년까지 교통 부문에서 사용되는 화석 연료의 양을 절반으로 줄일 것이라고 언급하며, 바이오 연료 및 전기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추진 수단을 장려하는 것 외에도, 사회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총 주행 거리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핀란드 전략 정부 프로그램에 정의된 주요 프로젝트 및 개혁의 일환으로, 베르너 전 장관은 핀란드의 전반적인 규제 완화와 행정 부담 감소를 추진했다. 또한 디지털 서비스, 예를 들어 디지털화, 빅데이터 및 로봇화를 통한 성장을 요구했다. 베르너 전 장관은 이러한 분야에서 여러 가지 이니셔티브를 마련하여 핀란드가 5G 네트워크, 자율 교통 및 IoT 기반 솔루션을 포함한 신기술 개발 및 활용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을 촉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inisters http://valtioneuvost[...] 2018-03-21
[2] URL http://valtioneuvost[...]
[3] 웹사이트 Ministerit nimikkeittäin - Liikenneministeri http://valtioneuvost[...] Valtioneuvosto 2014-02-09
[4] 웹사이트 Ministerit nimikkeittäin - Liikenne- ja viestintäministeri http://valtioneuvost[...] Valtioneuvosto 2014-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